본문 바로가기

Learning Princesa

향후 물가와 경기 향방에 따른 투자전략

<<투자포인트>>

너무 오른 물가

  • 하락 추세중 5월 중순 단기 반등 가능성 (원화가치 올라서면 외국인 매수할 듯)
  • 경기 수축 국면) 통신주의 배당투자 추천 ex. KT
  • 매수보다 사수하라. 싸게 주식살수 있는 시기를 잡아라.

희망을 찾아보아요
  • 달러 팔아라. 곧 하락 예상>> 외국인 삼성전자 매수 가능성, 반등
  • 미국채권보다 한국채권 (우리나라 금리가 미국's 낮아질 예정)
  • 신흥국(베트남, 인도 ETF)- 교수님 보유중 ^^
  • 곡물3대가격ETF- 교수님 보유중
  • 중국 전기차 ETF- 교수님 보유중

하락기에 할수있는 최선

현재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문제가 되어
금리 상승중이나
경기침체가 화두로 떠 오르고 있어
장기적 금리 인상은 어려울 듯 합니다. 아마 금리 2%가 정점~! 저금리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기침체는 경기 사이클의 수축 국면 초기 진입한 단계로
그에 따른 투자 전략을 김영익 교수님께서 제시해 주셨습니다.


환율은 1300원을 고점으로 찍고 원화가치가 상승되면
외국인이 되돌아와 매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일시적으로 삼성전자 투자 시도
경기 침체 국면이라 한국국채와 배당주를 추천해 주시네요.
미국 투자를 해야하지만 비중 줄이고 신흥국's 수익률이 더 높을 수 있다고 합니다.

<< 현재 시장 상황>>

  • since 2021년 하반기, 물가상승, 선행지수 하락 ing (주식비중 ↓ 추천)
  • 물가상승>>금리인상 but 경기침체 중 (저금리 가능성)
  • 전 자산 (주식, 부동산) 거품 붕괴중
  • 미국 적자 but 환율상승 중 (달러 상승 정점, 1300원 정점가능)

  • 부동산) 장기 상승 추세 꺽여 대구, 대전, 서울 강북 침체 국면 시작 중
  • 엔화, 유로 가치 하락 강세
  • 이머징마켓(신흥국-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통화 가치 하락 약세>>세계 경제가 미국 의존도↓

이러다가 정말로 세계의 중심이
미국에서 인도, 중국으로 이전되는 것은 아닐까요?

<<미래 예측>>

  • 2022.6 물가 정점 찍을 듯 =주가반등 가능성 but 일시적 상승
  • 2023. 상반기 전세계 침체가능성 (정부, 가계 부채↑, 자산거품)
  • 2023. 하반기 까지 경기침체 가능성 (코스피 2600~2900박스권이 더 하락 가능성)
  • 자산가격 하락>>소비위축>>마이너스성장>>주가하락
  • 단기적 미국 경기 둔화
  • 장기적 한국 경기 둔화(노동가능인구 15~64세 감소)
  • 미국이 한국보다 금리 높아질 예정 (경제성장률에 기인)
  • 미국 주가 거품이(10년) 심해서 급락 예상

유튜브 신사임당님의
"하락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주식 사지 말고 기다려라."
김영익 교수 전 하나증권 부사장님의 영상을 보고 정리했습니다.